글로벌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현황 및 시사점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오픈 이노베이션 현황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변화
◦
글로벌 대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현황
•
글로벌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
◦
주요 업종별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
◦
글로벌 대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
한국에 대한 시사점
자료 보기
발췌/출처
주요 내용
우리나라 기업들이 4차산업 오픈이노베이션 활용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가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신 기술의 도입·활용을 목적으로 포브스 500社 기업의 52.4%가 스타트업과 다양한 형태로 연계활동*을 하고 있으며 내부 참여를 위해 과감한 인사 및 인센티브제도 등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계활동: 기술자문, 사업지원, 코워킹 스페이스, 엑셀러레이터&인큐베이터, 스타트업 공모전, CVC
보고서는 “AI, IoT, 빅 데이터 등 4차 산업 기술은 그 속성상 기반범용기술*(GPT, General Purpose Tech)이고, 생애주기상으로 성숙기에 접어들어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혹은 와해성 기술을 양산하는 모판(Seed bed)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GPT란 증기기관, 철도, 전기, 전자, 자동차, 인터넷 등 인류발전과 사회변혁에 기여한 핵심기술
이어 해외 상위 대기업일수록 “새로운 기술의 활용/도입, 자사 비즈니스 변혁/개선, 우수인재 획득, 신규고객 접근, 시장 관련 최신정보 수집 등의 목적으로 스타트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이노베이션 전담팀을 배치한 기업의 이노베이션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밝혔다. 또한 대기업은 내부 직원들의 오픈 이노베이션 동기 유발을 위해 과감한 인센티브 제도, 전문 중개기관 활용, 유연한 인사제도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독일의 경우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현장의 과제를 제시하고, 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 스타트업이 도전해 상호간의 비즈니스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를 참고해 국가간 호혜적인 이노베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해 해외기관간 협력모델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대·중견기업은 기존 밸류체인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스타트업은 판로개척 및 투자유치를 기대할 수 있어, 스타트업의 글로벌 스케일업(확장)의 가장 이상적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폐쇄형 이노베이션 구조에 가까움
한국 중소·스타트업 및 대기업이 오픈 이노베이션 과제를 상시적으로 공개하고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
•
또한 공공 및 민간의 인프라를 스타트업의 테스트베드로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이 실적확보 및 고객 피드백 등을 활용하여 스케일 업할 수 있도록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