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사업 예산 수립 기초

설명
공공 분야 사업의 예산 수립시 필요한 단가와 기준, 활용법을 정리함
공개여부
공개
Created
2024/04/13 08:54
난이도
중급(3~5년차 대리-과장급)
목적/분류
무역협회용
신입/인턴용
업무생산성툴
중분류
Person
Files & media
Last edited time
2024/04/13 11:07
URL
매뉴얼 완성도
In progress
Date
2024/04/13
(개요) 공공 분야 사업의 예산 수립시 필요한 단가와 기준, 활용법을 정리함 (목적) 수행사, 발주처 담당자들의 합리적인 기준의 예산 수립 및 제안, 발주 역량을 구축

1. 주요 예산 기준단가

1. 학술연구용역 인건비 기준단가

매년 행안부에서 발표하는, 용역비의 기본이 되는 지침임.
학술연구용역 인건비 기준단가(행안부 훈령/예규/고시)

2. 한국PCO협회 기준단가

매년 한국PCO협회에서 발표하는 국제회의, 컨벤션용역의 주요 거래가이드라인임
[한국PCO협회]행사용역 인건비 책정기준+국제회의 전문인력 등급 기준(2023)

3.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노임단가

4. 한국무역협회 예산편성단가

[붙임] 2024년도 1월 예산운용지침 (공지용)_240112.pdf
409.8KB

예산 편성 가이드

아래에서는 위 단가를 기준으로 실제 사업별 예산편성의 요령을 본다.

1. 예산편성 방법론

1.
민간수행사 방식(Bottom-Up) : 단가별 구성 후 간접비(보통 3%) + 부가가치세 별도(10%)를 합쳐 절사
2.
공공/발주처 방식(Top-down) : 부가가치세 포함 항목별 단가 혹은 비율로 구성

2. 예산편성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