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 이력
주제
•
공공기관 수출지원 담당자 맞춤형 수출지원 실무가이드
•
수출지원사업, 수출실무 단계 및 절차, 조사/컨설팅/교육/온오프라인수출마케팅/해외전시회/시장개척단/수출바우처 등 사업 유형별 체크사항/노하우, 수출지원사업 성과 유형 및 유의점 등
주요 내용
•
본 강연의 주제는 “공공기관 수출지원 담당자 맞춤형 수출지원실무“입니다. 현존하는 무역실무 강의는 대부분 기업에서 실제 수출실무를 다룰 사람들이 교육 타겟이다보니, 공공기관의 수출지원 담당자의 관점에서 필요한 무역실무 강의가 없었습니다. 이에 공공의 관점에서 도움이 될 정보와 노하우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
구성은 크게 우리나라의 수출지원사업 개요를 소개드리고, 수출기업의 수출싸이클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그리고 공공관점에서 참여기업 선발 및 관리, 여러 지원사업 유형별 노하우와 주의사항, 수출성과 유형과 의미를 소개합니다. 본 강의의 성격상, 각 페이지별로 장표에 담지 못하고 구두로 전달하거나 토론할 암묵지가 많습니다. 강의 분량은 2시간 분량입니다.
•
수출지원사업 개요에서는 크게 수출초보와 수출성장지원사업, 그리고 바우처형 종합지원에 대해 소개합니다.
•
그리고 공공기관의 지원사업에 있어 예산과 절차의 진행 흐름을 유형별로 소개합니다. 본 장표는 이론 설명 뿐만 아니라, 여러 유관기관들이 성공적인 협업을 위해 이해할 구조와 플레이어들을 함께 보여줍니다.
•
수출기업의 수출싸이클에서는 우리 공적지원이 집중되는 수출마케팅에 있어 수출전략수립부터 기반구축, 마케팅, 이행까지 각 단계에 있는 주요 지원사업들을 소개합니다.
•
이를 중기청 수출가이드를 참고로 하여 그림으로 제시하고 각 유관기관 사업의 포지셔닝에 대해 설명합니다.
•
그리고 수출유관기관이 참여기업 발굴시 절차별 체크사항을 소개드립니다. 일반 공고와 통합공고, 약식 공고 등의 유형과 적정 모집 기간 등을 소개합니다.
•
또한 가능한 마케팅 수단 및 옵션을 소개합니다. 포탈사이트 공고, 온오프라인 홍보, 대량 메일, 1대1 발굴 등이 그것입니다.
•
그리고 각 사업 유형별 지원에 있어 주의할 점과 노하우를 각각 소개합니다. 조사 및 일반 컨설팅에서 주의해야 할 점, 그리고 참여기업 자체적인 조사역량 축적이라는 목표를 제시합니다.
•
해외시장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가 참여기업이 자체적으로 타겟 시장의 마케팅 믹스를 그려내야 함을 소개하고, 가장 이상적이고 필수적인 지표로 구성한 마케팅 믹스 아웃풋을 제시합니다.
•
그리고 주의해야할 부정행위의 유형과 내용을 소개합니다.
•
수출실무교육 파트는 주로 어떤 커리큘럼과 단계적 구성, 수출초보와 성장기업에게 주로 필요한 내용에 대해 설명합니다.
•
온라인 수출마케팅은 오늘날 가장 기본적임을 안내하고 수출 마케팅 단계에서 어느 위치에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기업 관점의 필요사항을 공공기관도 참고하도록 함께 안내합니다.
•
그리고 실제 진행시 노하우, 공공기관 플랫폼 사용부터 직접 발굴 경험 축적까지 단계적 노하우를 소개하여, 공공플랫폼의 의미 및 활용 팁을 공공기관 수강자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합니다.
•
공공 수출지원사업의 꽃인 해외전시회 파트는, 공공기관 담당자가 수행기관으로 직접 챙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절차와 준비사항에 관해 좀더 많은 장표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이야기를 함께 전달드립니다.
•
특히 해외전시회 성과창출공식의 거의 다라고 할 수 있는 사전마케팅에 관해 의미를 강조하고 팁을 소개합니다.
•
수출상담회에 대해서는 예시 사진을 함께 소개하여 공공기관 담당자들이 최종 보고단계에서 보여줄 핵심 목표들을 이미지로 느낄 수 있게 제시하고, 업무분장, 매칭 품질 확보를 위해 필요한 최소 기간, 그리고 Why Korea라는 근본적인 화두, 제약요인 등을 함께 설명합니다.
•
수출상담회의 반대라 볼 수 있는 시장개척단은 실제 사업 예시를 통해 세세한 일정, 단계, 그리고 앞서와 동일하게 역할분장, 최소기간, 제약요인 등을 함께 설명합니다.
•
종합패키지 지원사업이라 할 수 있는 바우처형 통합지원사업에 대해서는 수행사와 참여기업 매칭에 공공이 관여할 수 없는 딜레마를 소개하고, 그럼에도 참여기업에 요청할 경우의 팁을 소개합니다. 또한 참여기업이 주로 겪는 계획미비, 집행문제에 대한 메뉴결합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
마지막으로 지원사업 성과에 관하여, 양적 지표와 질적지표를 구분하여 제시하고, 특히 샘플, 계약, 직수출, 사례로 구성되는 질적지표의 성질과 노하우에 관해 소개합니다.
•
본 강의는 슬라이드 약 50장 분량, 다만 구두로 전달하는 암묵지와 토론이 많아 2시간이 적정합니다. 본 강의는 성격상 기업이나 외부인은 참석 불가하며 수출유관기관 담당자만 대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