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정부, 오픈이노베이션 대표성과로 ‘렉라자’ 강조 < 복지부 < 정책·행정 < 기사본문 - 의학신문

Tags
1 more property
SNS 기사보내기

범부처 R&D 지원 통해 미국 FDA 승인 성과 도출 소개 첨단바이오 · AI ·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로 투자강화

[의학신문·일간보사=이승덕 기자]정부가 범부처 R&D 지원을 통해 글로벌 진출에 성공한 ‘렉라자’를 대표적 개방형 혁신 사례로 소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는 5일 유한양행의 폐암치료제 ‘렉라자’에 대한 성과와 지원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의 필수조건인 의약주권 확보를 위해 제약기업과 학·연·병의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전략을 바탕으로, 분절적 지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11년부터 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 3개부처 공동으로 기초연구부터 임상 및 사업화까지 신약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 8월 20일(미국 현지시각)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인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티브 메디슨(J&J Innovative Medicine, 舊얀센)이 유한양행에서 기술이전받은 폐암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및 리브리반트의 병용요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했는데, 이는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이 바탕이 된 글로벌 신약개발의 개방형 혁신 성공 사례라는 설명이다.
이번 신약개발 건은 국내 바이오 기업 오스코텍의 자회사인 제노스코에서 개발된 후보물질이 국내 제약기업 유한양행으로 이전되어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을 거쳐 사업화에 성공한 사례이다.
유한양행은 국내 임상을 추진하였고, 정부는 임상 1/2상 과정에서 범부처 협업 기반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기술 수출에 필요한 핵심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안정성 시험 관리 등을 지원했고, 이를 바탕으로 유한양행에서 글로벌 제약사 얀센에 기술수출하여 글로벌 임상과 FDA의 최종 승인까지 완주한 신약개발 분야 개방형 혁신 전략의 성공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글로벌 폐암치료제 시장은 2023년 약 45조 6000억원 규모로 항암제 중 가장 큰 시장으로, 렉라자의 최대 경쟁제품인 아스트라제네카社의 타그리소의 2023년 매출이 약 7조 7000억원 규모인 점을 감안 시 렉라자는 국내 신약 최초로 연매출 1조원 이상인 글로벌 블록버스터에 등극할 것이 유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처럼 성공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글로벌 신약개발을 포함한 첨단바이오 분야를 인공지능(AI), 양자와 함께 3대 게임체인저로 지정해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첨단바이오 분야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 전략으로서 지난 4월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를 수립한 바 있고, 이를 바탕으로 첨단바이오 분야에 2025년 약 2조1000억원 규모(2024년 약 1조8000억원)의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을 편성해 다부처 협업을 기반으로 한 첨단재생의료, 데이터·인공지능 융합, 팬데믹 대비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등에 대한 정부 R&D 투자를 강화했다.
아울러 바이오 분야에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는 바이오 대전환기 흐름에 맞춰 신약개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신약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지원도 지속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신약개발 분야 개방형 혁신을 핵심적 전략으로 삼고 연구개발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부처간 칸막이 없이 기초연구, 물질탐색·발굴부터 임상, 사업화까지 신약개발 전주기에 대한 산·학·연·병 대상 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하며, 연구 주체 간 연계, 공동연구,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한 협력을 지향한다”며 “신약 관련 인프라와 유기적으로 촘촘히 연계해 연구 컨설팅, 사업화, 화학·제조·품질관리(CMC), 기술이전 계약 지원 등을 통해 각 단계별 신약개발의 성공률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승덕 기자 sdpress@bosa.co.kr
저작권자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